안녕하세요. 비트펑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더리움 펙트라 업그레이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해당 업그레이드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서, 이더리움은 '더 빠르고, 저렴'해졌습니다.
너무 막연한 이야기 같나요? 아닙니다. 이번 펙트라 업그레이드는 장기적인 이더리움 성장에 필수적인 것으로 다음과 같은 3가지 특징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가스비는 꼭 ETH로 안 내도 됨! 펙트라 업그레이드 이후에는 USDC, DAI 같은 토큰으로도 가스비 결제가 가능해짐.
- 검증자 보상 및 확장성 향상: 최대 스테이킹 한도가 늘어나고, 검증자 통합이 가능해짐.
- 기술적으로 더 빠르고 가벼운 이더리움: '버클 트리'와 'PeerDAS' 기술로 더 많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됨.
계속되는 이더리움 업그레이드
이더리움은 2022년 ‘머지(The Merge)’를 통해 지분증명(PoS) 방식으로 전환했고, ‘칸쿤 업그레이드(2024)’를 통해 확장성 문제를 개선했습니다. 그런데도 여전히 고민이 남아 있었습니다.
- 가스비는 비싸고,
- 블록체인은 느리고,
- 스테이킹 한도가 너무 적고,
- 초보자들은 접근성이 어렵다.
그래서 등장한 게 바로 이번 ‘펙트라 업그레이드’입니다. 이름부터 낯설지만 사실은 프라하(Prague) + 일렉트라(Electra), 두 개의 업그레이드를 합친 겁니다.
두 가지 업그레이드 모두 이더리움의 미래를 위한 핵심적인 변화들을 담고 있었기 때문에, 아예 통합해서 진행하는 것이 바로, 펙트라(Pectra) 업그레이드가 된 것이죠.
펙트라 업그레이드, 뭐가 달라지나?
1. ETH 없어도 가스비 결제 가능: 계정 추상화
기존에는 이더리움 상에서 뭘 하려면 반드시 ETH를 조금이라도 들고 있어야 했습니다. 토큰 전송이나, NFT 거래, 디앱 이용 등 뭐든 간에 ‘가스비’를 내야 했기 때문이죠.
반면, 펙트라에서는 ‘계정 추상화(Account Abstraction)’가 도입돼요. 계정 추상화란 '지갑을 스마트 컨트랙트처럼 활용'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같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 USDC, DAI 같은 다른 토큰으로 가스비 결제 가능
- 서비스 제공자가 대신 가스비를 내주는 ‘가스 스폰서’ 기능 가능
결론적으로, 디앱 이용이 훨씬 간편해지고 가스비 충전을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 구글리을 하던 초보자들도 보다 쉽게 디앱에 참여할 수 있게 됩니다.
2. 더 빨라진 스마트 컨트랙트
EIP-7692 같은 제안이 적용되면서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속도가 빨라지고, 비용은 낮아졌습니다. 개발자 입장에서는 코드를 덜 복잡하게 짜도 되고, 사용자는 더 빠르고 저렴한 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3. 최대 한도 스테이킹 2,048 ETH
현재는 검증자가 되려면 32 ETH를 스테이킹해야 하고, 그 이상은 보상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업그레이드로 2,048 ETH까지 스테이킹이 가능(EIP-7251) 하고, 유연한 출금 기능(EIP-7002)도 생기게 됩니다.
또한, 여러 명이 운영하던 검증자 노드를 하나로 통합하는 기능도 도입되며, 대규모 검증자 서비스 및 리스테이킹 프로토콜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게 됩니다.
4. ‘버클 트리’ 도입: 블록체인을 가볍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증하는 방식이 '머클 트리(Merkle Tree)'에서 '버클 트리(Verkle Tree)'로 바뀝니다. 두 가지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 머클 트리 | 버클 트리 |
---|---|---|
저장 공간 | 큼 | 작음 |
증명 속도 | 느림 | 빠름 |
확장성 | 제한적 | 뛰어남 |
결론적으로, 펙트라 업그레이드에 버클 트리가 도입되며 네트워크 전체가 더 가벼워지고, 검증 속도도 빨라지게 되빈다. 실사용자 입장에서는 트랜잭션 처리 속도와 수수료가 더 나아질 수 있다는 얘기죠.
5. 레이어2를 위한 업그레이드: PeerDAS
아비트럼, 옵티미즘과 같은 레이어2 솔루션이 더 강력해질 수 있도록 PeerDAS(Peer Data Availability Sampling)라는 기술도 도입됩니다.
이게 뭐냐면, L2들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더 빠르고 가볍게 만들어주는 기술입니다. 결과적으로, 레이어2 수수료는 낮아지고 처리 속도는 더 빨라지게 되죠. 즉, 레이어 생태계 확장에 중요한 기반이 되는 기술입니다.
두 번에 걸쳐 진행되는 펙트라 업그레이드
처음 이더리움 재단은 모든 기능을 한 번에 출시하려고 했지만, 기술이 너무 많고 복잡하다 보니 위험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두 번에 나눠서 순차적으로 펙트라 업그레이드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단계 | 시기 | 주요 기능 |
---|---|---|
1단계 | 2025년 5월 | 계정 추상화, 검증자 업그레이드 등 사용자 중심 개선 |
2단계 | 2026년 예정 | PeerDAS, EVM 개편 등 기술 중심 개선 |
누가 어떤 혜택을 받게 될까요?
(1) 일반 사용자
- 가스비 걱정 ↓ (ETH 없이도 결제 가능)
- 더 빠른 트랜잭션
- 서비스 접근성 ↑ (초보자도 쉽게 참여 가능)
(2) 검증자 및 스테이커
- 더 많은 ETH에 대해 보상 가능
- 스테이킹 및 출금 더 유연하게
- 노드 수 줄여 효율성 확보
(3) 개발자
- 스마트 컨트랙트 효율 향상
- 더 낮은 개발 비용
- 레이어2 활용도 확장
펙트라 업그레이드의 장기적 의미는?
이더리움은 단순한 업그레이드가 아니라, 앞으로 수억 명의 사용자가 쓸 수 있는 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한 체질 개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저장 방식부터 결제 방식까지 전면 리뉴얼
- 레이어2 확장 기반 마련
- 개발자, 사용자, 검증자 모두를 고려한 업그레이드
결국, 한 때 솔라나에게 밀려 맥을 못추던 이더리움이 드디어 더 빠르고 싸고 쉬운 이더리움으로 가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 과연 전고점까지 날아갈 수 있을까요? 보다 자세한 글은 바이낸스 아카데미의 '펙트라 업그레이드' 및 이더리움 'EIP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아카데미 > 🧐 크립토 블록체인 1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랩트 이더(WETH)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하나요? (0) | 2025.05.13 |
---|---|
코인 다단계와 폰지 사기... "예방 및 신고"하는 방법 (f. 업비트 거래소) (0) | 2025.03.28 |
양자컴퓨터 비트코인 해킹? 진짜일까? (0) | 2024.12.31 |
메타마스크 해킹 예방하는 방법: 개인 지갑 온체인 스캠 사례 정리 (0) | 2024.12.10 |
블록체인 레이어란? 레이어0, 레이어1, 레이어2의 개념과 차이점 (0) | 202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