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블록체인 레이어들이 등장하면서,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의 효율적인 연결(브리지 기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레이어제로(LayerZero)는 이러한 독립적인 블록체인들을 연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옴니체인 프로토콜로, 여러 체인을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레이어제로란?
레이어제로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에 메시지와 자산을 직접 교환할 수 있도록 설계된 탈중앙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레이어제로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기존 브리지처럼 래핑 토큰을 생성할 필요 없이, 체인 간 자산을 네이티브 수준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제로는 누가 만들었나요?
레이어제로는 CEO 브라이언 펠레그리노(Bryan Pellegrino), CTO 라이언 자릭(Ryan Zarick), 공동 창업자 케일럽 배니스터(Caleb Banister)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이들은 2021년 레이어제로를 시작하며, 블록체인 간 상호운용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현재 레이어제로의 기업 가치는 약 30억 달러에 달하며, 유니스왑(Uniswap), 페이팔(PayPal), 세콰이어 캐피털(Sequoia Capital) 등 주요 투자사로부터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레이어제로는 어떻게 작동하나요?
블록체인이 서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단순한 ‘전송’ 이상의,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 교환 방식이 필요합니다. 레이어제로는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구성 요소로 작동합니다.
1. 엔드포인트(Endpoints): 체인 간 게이트웨이
레이어제로는 각 블록체인에 ‘엔드포인트’라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합니다. 해당 엔드포인트는 체인 간 메시지를 보내고 받는 역할을 하며, 마치 체인마다 설치된 '출입문'처럼 기능합니다.
2. 초경량 노드(ULN): 필요한 정보만 빠르게 처리
ULN(Ultra Light Node)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도,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로 트랜잭션을 검증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기존 블록체인처럼 무거운 노드가 필요 없기 때문에, 빠르고 효율적인 메시지 전달이 가능합니다.
3. 오라클(Oracle): 안전한 중개 및 전달
오라클은 한 체인에서 일어난 거래 정보를 다른 체인으로 전달합니다. 예를 들어 A 체인에서 발생한 거래를, B 체인이 알 수 있도록 돕는 역할입니다. 레이어제로는 체인링크(Chainlink)와 밴드 프로토콜(Band Protocol)을 공식 오라클로 사용합니다.
4. 릴레이어(Relayer): 정보를 검증하고 실행
릴레이어는 오라클이 보낸 정보가 정확한지 검증하고, 검증이 완료되면 해당 메시지를 실제로 실행합니다.즉, 자산 전송이나 교환이 실제로 발생하도록 합니다.
레이어제로가 특별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기존 브리지 시스템은 대부분 중앙화된 방식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하나의 검증자가 해킹당하면 전체 시스템이 위협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레이어제로는 오라클과 릴레이어를 분리해서 독립적으로 운영합니다. 이로 인해 보안성과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며, 특정 노드 하나에 의존하지 않는 탈중앙화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항목 | 기존 브리지 | LayerZero |
---|---|---|
검증 구조 | 중앙화 (멀티시그 등) | 탈중앙 구조 (DVN + Executor) |
전송 방식 | 래핑/언래핑 필요 | 네이티브 전송 |
체인 호환성 | EVM 중심 | EVM + 비EVM 모두 지원 |
사용자 경험 | 단계별 승인 단계 | 단일 트랜잭션으로 간편 처리 |
레이어제로 대표 브리지 '스타게이트'란?
스타게이트(Stargate Finance)는 레이어제로의 기술을 가장 먼저 적용한 대표적인 디앱입니다. 스타게이트를 사용하면 래핑 없이도 한 번의 클릭으로 자산을 다른 체인으로 전송할 수 있는 크로스체인 브리징이 가능합니다.
- 이더리움, BNB, 아발란체 등 다양한 체인 간 실시간 자산 전송
- ETH, USDT, USDC 등 주요 자산 지원
- 유동성 풀 참여 및 수수료 수입 기회 제공
스타게이트를 통해 브리지 하는 방법은?
(1) 지갑 연결
스타게이트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한 다음 메타마스크 또는 OKX 월렛과 같은 웹3 지갑을 연결합니다.
(2) 전송 자산 및 체인 선택
현재 자산을 보유한 체인과 토큰을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네트워크상의 USDT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이를 전송할 대상 체인을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아발란체 체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전송 확인 및 승인
전송할 금액을 입력한 다음, 예상 수수료와 슬리피지를 확인합니다. ‘Transfer’ 버튼 클릭 후 지갑에서 트랜잭션 승인합니다.
체인 간 가스비 외에도 소정의 프로토콜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산과 체인에 따라 수수료는 다르며, 전송 전에 해당 정보가 표시됩니다.
(4) 수신 체인에서 확인
보통 약 1~3분 내로 자산이 도착합니다. 잠시 후, 수신 체인 지갑에서 자산이 잘 도착했는지 확인합니다.
레이어제로 스캔을 사용하면 현재 진행 중인 브리지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제로 스캔에 접속하여 송신인 및 수신 체인의 상황, 디앱 메시지, 트랜잭션 추적 등 실시간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마치며
레이어제로는 단순한 크로스체인 브릿지를 넘어서, 여러 블록체인 생태계를 하나로 연결하는 진정한 옴니체인 플랫폼입니다. 스타게이트와 같은 대표 디앱을 통해 사용자는 래핑 없이도 간편하게 자산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 아카데미 > 🟡 코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DT0 스테이블코인이란 무엇이며 주목받는 이유는? (0) | 2025.09.12 |
---|---|
오픈레저(OpenLedger)란 무엇인가요? (0) | 2025.09.09 |
에테나와 USDe 스테이블코인이란? (0) | 2025.09.02 |
베라체인 핵심 특징 및 인기 디파이 앱 소개 (0) | 2025.07.31 |
소폰(SOPH) 코인이란 무엇이며 주목받는 이유는? (0) | 2025.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