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비트코인 가격이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 배경에는 바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가 있었는데요. 지난 2일 트럼프는 모든 수입품에 기본 10%의 관세를 부과하고, 특정 국가에는 최대 49%까지 세금을 올리겠다고 선언했습니다.
트럼프의 이러한 극단적인 선택은 가상자산 시장 전체에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특히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가격은 급락했고 채굴 관련 기업 주식도 줄줄이 하락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트럼프의 관세 선언이 왜 가상자산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줬는지, 그리고 앞으로 우리가 주목해야 할 흐름은 무엇인지 자세히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 뭐가 바뀌는 건가요?
먼저 트럼프가 발표한 관세 정책의 핵심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기본 관세 | 모든 수입품에 10% 부과 (USMCA 국가 제외) |
국가별 강화 관세 | 최대 49%까지 차등 부과 가능 |
외제차 관세 |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25% 부과 |
시행 시점 | 2025년 4월 5일 (기본), 4월 9일 (자동차) |
이러한 정책은 사실상 미국 중심의 보호무역을 강화하겠다는 신호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런 움직임이 전 세계 무역을 위축시킬 수 있고, 그 여파가 가상자산 시장으로도 확산된다는 점이죠.
비트코인 가격, 왜 하락했을까?
트럼프의 발표 직후, 비트코인은 $88,000에서 $82,600까지 떨어졌습니다. 이더리움은 $1,800 아래로 하락했고, 솔라나는 무려 6.5%나 빠졌습니다.
비트코인 | $88,000 | $82,600 | -3% |
이더리움 | $1,910 | $1,790 | -6.2% |
솔라나 | $126 | $118 | -6.5% |
(1) 시장 불안 심리
보호무역 강화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을 키웁니다. 투자자들은 먼저 위험 자산(=가상자산)부터 매도하게 되죠.
(2) 채굴 산업 비용 상승 우려
미국에서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기업들은 대부분 중국산 장비를 씁니다. 그런데 여기에 관세가 붙으면 장비 가격이 확 올라가고, 채굴 수익성도 떨어지게 돼요.
(3) 정책 불확실성 확대
투자자들은 정권 변화나 정책 변화에 민감합니다. 특히 트럼프처럼 예측 불가능한 인물이 복귀 가능성을 보이면 시장 전체가 흔들릴 수 있어요.
미국 채굴 산업, 직격탄 맞나?
이번 관세 정책은 특히 미국 채굴 산업에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채굴 장비 대부분이 중국산이라는 점 때문이죠.
장비 가격 상승 | ASIC 칩 등 채굴 장비에 관세 붙으면 가격 상승 불가피 |
수익성 악화 | 장비 값 + 전기 요금 상승 → 채산성 하락 |
중소 채굴업체 퇴출 | 규모가 작은 업체일수록 버티기 힘듦 |
실제 주식시장 반응은 어땠을까?
트럼프의 발표 직후, 미국 내 채굴 기업 주가도 바로 반응했습니다. 특별히, 채굴 관련 주식들이 시간 외 거래에서 대부분 급락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코어 사이언티픽 (Core Scientific) | -8.5% |
마라톤 디지털 (MARA) | -7.0% |
라이엇 플랫폼스 (Riot Platforms) | -5.6% |
하이브 디지털 (Hive Digital) | -5.6% |
트럼프가 비트코인을 매입하겠다고?
재밌는 건, 일전에 트럼프가 관세 정책을 발표하면서 “예산 중립적인 방식으로 비트코인을 확보할 수도 있다”고 말한 부분입니다.
이게 뭘 의미할까요? 바로, 관세로 벌어들인 세금 수입을 비트코인 매입에 쓰겠다는 가능성이 열려있는 것입니다. 이 모든 것이 트럼프의 큰 그림이었을까요?
가상자산 시장,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
이번 관세 이슈는 단순한 무역 문제가 아니라 가상자산 투자자들에게도 여러 중요한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가 장기화된다면 지금처럼 채굴 중심의 구조가 과연 유지될 수 있을까요?
또한, 비트코인이 다시 ‘디지털 금’으로서의 역할을 회복할 수 있을지, 그리고 미국 정부가 실제로 비트코인을 매입하게 된다면 시장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에 대한 논의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불확실성 속에서 투자자들이 고려할 수 있는 생존 전략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특정 코인이나 특정 국가에 자산을 집중하기보다는 분산 투자로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 채굴 중심 구조에서 점점 스테이킹이나 디파이 기반 구조로 이동하는 흐름을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의 정책 변화, 특히 관세나 세금과 같은 규제는 꾸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관세는 시작일 뿐, 시장은 이미 반응했다
트럼프의 이번 발표는 단순한 ‘무역 정책’이 아니었습니다. 가상자산 시장 전체에 영향을 주는 경제 신호였고,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흐름을 알려주는 전환점이기도 했습니다.
비트코인의 가격은 일시적으로 흔들렸지만, 정부 차원의 매입 가능성이 언급됐다는 건 오히려 장기적인 기대를 남길 수도 있죠. 하지만 중요한 건, 지금 시장은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앞으로 미국의 관세 정책이 어떻게 이어질지, 그리고 가상자산 생태계가 어떤 방향으로 변화할지는 계속해서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거 같습니다.
'👨💻 투자 인사이트 및 소식 > 🗞️ 뉴스 및 이슈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이블코인 테더... '미국 시장에 진출할 준비 중' (0) | 2025.03.28 |
---|---|
드디어 출시되는 카이아 메인넷... 클레이튼과 핀시아 스왑 방법 (0) | 2024.08.19 |
가족 간 금융 거래, 차용증 없어도 문제 없을까? (0) | 2024.05.04 |
EBS 돈의 얼굴 1부. 돈을 믿습니까? (리뷰) (0) | 2024.05.04 |
가상자산 관련 신규 법률 가이드 정리 (0) | 2023.12.10 |